ECG에서 심근 괴사의 단계. 심근경색의 징후에 대해 ECG 데이터를 해석하는 방법? 측면 심근경색 ECG

관상동맥질환은 심장 근육에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심장 세포의 신진대사가 장기간 중단되면 순환 장애가 발생하고 심근경색으로 인해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심근세포의 사멸을 특징으로 하는 이 합병증은 가장 일반적인 원인심정지.

심근경색의 특징적인 증상은 질병의 형태에 따라 다릅니다. 고혈압 위기, 과도한 피로, 강렬한 신체 활동 또는 스트레스는 질병의 발현에 기여하는 요인입니다.

병원 전 진단 조치

전임상 진단은 환자를 면담하고 증상을 확인하는 것으로 구성됩니다. 심장 마비 발병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비정형적으로 지속되는 통증 증후군;
  • 질산염 섭취로 인한 효과 부족;
  • 통증이 신체 위치에 의존하지 않음;
  • 더 일찍 발생하고 심장 마비로 끝나지 않은 발작에 비해 증상의 강도가 더 높습니다.

도구 진단

진단을 내리는 주요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도구적 방법 EGC 및 EchoCG와 같은 연구.

심전도검사

심전도 - 심근경색을 발견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증상이 없더라도. 급성기와 회복 과정은 음성 T파를 특징으로 하며, 대초점 경색의 경우 병리학적 QRS 복합체 또는 Q파가 감지됩니다. 치유된 심근경색은 R파의 진폭 감소와 보존으로 나타납니다. Q 파.

아래 사진은 해석 및 설명, 단계별 징후(급성부터 경색 후까지) 및 현지화와 함께 심근경색 동안 ECG의 변화가 어떻게 보이는지에 대한 옵션을 보여줍니다.

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전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에코CG

심장초음파검사에서는 심실벽이 얇아지고 수축력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구의 정확성은 결과 이미지의 품질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 연구는 새로운 병변과 치유된 흉터를 구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지 않지만, 제외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수반되는 병리그리고 합병증.

실험실 방법

변경사항이 있습니다. 생화학적 혈액 매개변수따라서 이 분석은 심근경색을 진단할 때 수행됩니다.

  • 호중구 수는 처음 2일 동안 증가하여 3일째에 최고치에 도달합니다. 그 후에는 정상 수준으로 돌아갑니다.
  • ESR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 간 전달 효소 AsAt 및 AlAt의 활성이 증가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심근 조직의 염증 과정과 흉터 형성으로 설명됩니다. 효소와 단백질 수치의 변화도 혈액에서 감지되며 이는 진단을 내리는 데 중요합니다.

  • 수량 증가 미오글로빈- 통증 발생 후 4~6시간 이내.
  • 크레아틴 포스포키나제(CPK)는 질병 발병 후 8~10시간에 50% 증가합니다. 이틀 지나면 정상으로 돌아옵니다.
  • 젖산염 탈수소효소(LDH) - 질병 발병 2일째에 효소 활성이 증가합니다. 1~2주 후에 수치가 정상으로 돌아옵니다.
  • 트로포닌- 불안정 협심증으로 인해 그 양이 증가하는 수축성 단백질. 그 isoform은 심근경색에 매우 특이적입니다.

추가 연구

어떤 경우에는 위의 연구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진단을 확실하게 확립하거나 질병 경과의 뉘앙스를 명확히하려면 다음 절차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엑스레이 가슴 . 심근경색에는 폐울혈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엑스레이에서 눈에 띄게 나타납니다. 합병증이 확인되면 치료 요법을 조정해야 합니다.
  • 관상동맥 조영술. 관상동맥 혈관조영술은 혈전성 폐색을 발견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심실 수축력의 감소 정도를 결정합니다. 이 연구는 혈관 성형술이나 관상 동맥 우회 수술과 같은 외과 적 개입 전에 수행되어 혈류를 회복시키는 데 도움이됩니다.

환자가 심근경색과 유사한 증상을 경험하면 즉시 병원으로 이송하여 추가 검사와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질병 치료가 빨리 시작될수록 유리한 결과를 얻을 가능성이 커집니다.

심장마비를 예방하려면 다음과 같이 해야 합니다. 그리고, 스트레스, 과도한 활동, 신체적, 정서적 피로를 피하십시오.

이 간행물에서 나는 그러한 필요하고 효과적인 방법심근경색에 대한 ECG와 같은 진단. 제공된 정보를 읽은 후에 모든 사람은 ECG의 심장마비와 그 단계 및 손상 정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유형의 질병에 직면한 많은 사람들은 심근경색이 가장 끔찍하고 인기 있는 심장 병리 중 하나이며, 그 결과 사망을 제외하지 않고 전반적인 건강에 큰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을 점점 더 이해하고 있습니다.

증상이 시작되는 동안 많은 출처에서 정보를 읽은 많은 사람들은 종종 심장 마비 증상을 협심증과 혼동합니다. 자신의 실수를 저지르지 않으려면 첫 증상이 나타나면 병원에 가야 하며, 전문의가 ECG를 사용하여 심장의 정확한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심장마비란 무엇이며 그 종류는 무엇입니까?

심근 경색은 허혈성 심장 질환의 임상 유형 중 하나이며 심근 부위의 허혈성 괴사가 형성되어 결과적으로 혈액 공급이 절대적으로 또는 상대적으로 부족해집니다.

중요한! 심장 마비 중 ECG는 질병의 징후를 진단하고 결정하는 주요 유형 중 하나입니다. 심근경색의 첫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심장 전문의에게 연락하여 처음 60~120분 내에 심전도 검사를 받아야 하는데, 이는 매우 중요합니다!

의사를 방문하는 주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호흡 곤란,
  • 흉골 뒤의 통증 증후군,
  • 불쾌,
  • 들을 때 맥박이 자주 뛰고 심장 박동이 일관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심한 발한을 동반한 두려움.

당신은 알고 있어야! 심근 경색은 동맥 고혈압, 포도당의 급격한 감소 또는 증가, 죽상 동맥 경화증, 흡연, 과체중 또는 앉아있는 생활 방식의 배경에 대한 발병의 첫 징후입니다.

다음 요인은 심장 마비를 유발합니다.

  • 잦은 불안, 우울증, 스트레스, 걱정,
  • 관련된 업무 신체 활동또는 스포츠 활동(역도),
  • 외과 적 개입
  • 대기압의 빈번한 변화.


귀하의 건강과 생명을 보장하려면 첫 번째 징후에서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ECG의 도움으로 심장 마비가 발생하면 전문가는 심전도 기계에 부착된 특수 전극을 사용하고 그 후 심장 근육에서 특정 종류의 신호가 발생합니다. 정기적인 ECG를 수행하려면 6개의 센서를 사용해야 합니다. 심장 마비의 ECG- 많게는 12개.

MI의 종류

MI의 병리학은 대부분의 형태에서 가능하지만 이 기관을 검사할 때 ECG를 통해 다음 사항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경벽 경색(심장 좌심실 벽의 대규모 초점 괴사의 징후가 있으며 영향을 받은 부위의 최대 55-70%에 도달할 수 있음)
  • 심내막하(90%의 경우 광범위하게 발생합니다. ECG는 종종 심근의 영향을 받은 부위의 가장자리가 흐려져 초음파 전문가가 이 문제를 확인하기 어렵게 만듭니다),
  • 교내 (작은 초점 유형의 병리 중 하나로 간주됨).


확인된 증상에 따라 다음과 같은 형태의 MI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 협심증은 가장 흔한 경색 유형 중 하나입니다. 이는 가슴 뒤의 심한 통증으로 나타나며, 종종 신체의 왼쪽 윗부분(얼굴, 팔, hypochondrium)으로 방사됩니다. 환자는 기분이 좋지 않고 무기력하며 급격한 악화일반적인 상태, 발한.
  • 천식 - 호흡 곤란, 흡입을 위한 산소 부족으로 나타납니다. 성인과 노년층에서 이러한 증상이 나타난다면 이는 이미 MI에 걸렸음을 의미합니다.
  • Gastralgic – 상복부에 통증이 국한되는 불쾌한 위치입니다. 그럴 수도 있다 불쾌한 느낌견갑골을 조이는 것, 등. 이 모든 것이 딸꾹질, 메스꺼움, 복부 "팽만감", 장의 일부 부위에 통증을 유발합니다.
  • 뇌 혈관 - 현기증, 관자놀이와 머리 뒤쪽의 심한 통증, 메스꺼움, 구토로 나타납니다. 이 유형의 진단은 ECG를 통해서만 결정할 수 있습니다.
  • 부정맥 – 끊임없는 감정맥박이 사라지거나 일시적으로 없다는 것입니다. 실신 상태, 심한 두통, 혈압의 급격한 감소가 있을 수 있습니다.
  • 무증상 - 심장 마비의 국소화는 심한 약화와 호흡 곤란이 특징입니다.

기억해야 할 것! 이러한 증상을 더 잘 인식하려면 즉시 ECG를 촬영해야 합니다.

심근경색 연구에서 ECG의 역할

ECG는 MI의 하나 또는 다른 증상을 인식하는 데 필수적인 부분이며 진단 기술은 간단하고 심장 전문의와 의사 모두에게 많은 것을 설명합니다. 최신 기술 덕분에 모든 사람은 집에서나 특별히 지정된 기관에서 심장을 빠르고 효과적으로 진단하고 심장마비 병리를 식별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었습니다.

수행된 모든 ECG는 의사에게 개인의 특정 질병이 존재한다는 직접적인 증거입니다. MI는 췌장염이나 담낭염과 쉽게 혼동될 수 있으므로 즉시 심전도 검사를 실시해야 합니다.

다음 사실에 주목해야 하지만, 이 진단의 거의 8-9%에서 잘못된 데이터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특정 병리를보다 정확하게 식별하려면 해석과 함께 ECG를 여러 번 수행해야합니다.

ECG에 대한 심장마비 개요

심근의 급성 혈류 장애가 발생하는 동안 ECG를 수행하는 것은 장기 연구의 필수적인 부분입니다. MI 형성의 처음 몇 시간 동안 진단의 해독이 여러 번 증가합니다. 왜냐하면 이 질병의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시점이기 때문입니다.

영화에서는 질병 발병의 첫 번째 단계에서 혈액 공급의 초기 장애만 관찰할 수 있으며, 심전도 검사 중에 이러한 장애가 드러난 경우에만 관찰할 수 있습니다. 사진에서는 S – T 세그먼트의 변화로 표현됩니다.

ECG 파동의 변화에 ​​대한 시각적 지표를 제시해 드리겠습니다.


심전도의 이러한 유형의 이상은 경색 부위에서 발생하는 3가지 요인과 관련되어 이를 특정 구역으로 나눕니다.

  • 조직 괴사 - 그러나 Q-경색이 발생하는 경우에만
  • 이후 괴사를 위협하는 세포 완전성 위반,
  • 완전히 회복 가능한 혈류량이 부족합니다.

ECG의 설명이 MI의 발달을 드러냈다는 특정 징후가 있습니다.

  • R파(зR)는 작은 크기아니면 완전히 결석하거나,
  • Q파(3Q) 깊이,
  • T파(zT) 음수,
  • S–T 세그먼트는 등치선보다 낮습니다.


심전도상의 일시적인 경색 발달 단계

이름 기간 ECGO 징후 가장 급성기 발생 첫 시간부터 3일까지 S – T 세그먼트가 등치선보다 훨씬 높으며 이 위치로 인해 T파를 보기가 어렵습니다 아급성기 발생 첫 시간부터 발달 22일까지, S – T 부분은 등치선을 향해 서서히 감소하고, 등치선과 접촉하는 동안 - 이 단계의 끝을 나타냅니다.

T 파 부정적인

심장의 상처 3~4일에서 80~90일까지 T파가 등치선으로 서서히 증가하고 Q파가 서서히 감소

MI 형성 단계 표

병변의 크기에 따른 ECG 징후

경색 유형 하위 유형 징후 ECG Q-경색 경벽(원형) - 심장 벽 전체에 손상이 발생합니다. sR 없음

zQ – 깊은

S–T 세그먼트는 등치선보다 훨씬 높으며 EZ와 병합됩니다.

아급성 경색 중 – ST 음성

심외막하 - 병변은 외막 R파 옆에서 발생합니다. - 꽤 커졌습니다.

이 기간 동안 ST는 음성이 되며, 아급성 단계에 있게 됩니다.

벽내 - 병변은 심장 근육층 내부에서 발생합니다. R, Q 파에서는 병리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눈에 띄는 변화가 없는 세그먼트 S – T

zT 음수

심내막하 - 근육 내부 내벽 근처의 병변은 R, Q 및 T 파에서 발생하지 않습니다.

세그먼트 S – T는 등치선보다 최소 0.02mV 아래에 있습니다.


다양한 MI 자세 중 심전도 변화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전문가가 ECG용 12개 전극을 모두 사용해야 합니다. 이것을 사진 형태로 상상해 봅시다.

그리고 병변의 위치에 따라 질병이 영상에 다르게 표현됩니다. 심장마비의 종류를 살펴보겠습니다.

전중격 Q-경색

리드병리 징후표준. I, II 및 왼손부터Q - 깊은

S-T 세그먼트가 등치선 위로 천천히 상승합니다.

zT - 양수이며 세그먼트에 가까워집니다.

기준. III 및 오른쪽 다리에서 S - T 세그먼트는 이 기간 동안 3T 등치선 위로 천천히 감소하며 흉부 I-III(상단으로 전환하는 동안, IX 흉부) zR이 없고 대신 QS 세그먼트가 있습니다. S - T는 등각선 위의 최소 1, 8-2.8mm에서 오른손흉부(IX-VI) 3T - 편평한 세그먼트 S - T는 최소 0.02mV 이동된 등치선의 아래쪽 부분에 있습니다.


측면 MI

납이 표준입니다. III 왼손, 오른쪽 다리 및 가슴 V-VI

병리 징후 - zQ - 깊고 넓어진 세그먼트 S - T가 등치선 위로 천천히 상승합니다.

전후방 Q-경색

납이 표준입니다. III 왼쪽 팔, 오른쪽 다리 및 가슴 III - VI

병리 징후 - zQ - 깊고 넓어지며 S-T 세그먼트는 등고선보다 크게 상승하는 반면 zT는 긍정적이며 세그먼트와 병합됩니다.


후방 횡경막

리드병리 징후표준. 오른쪽 다리부터 II, IIIQ - 깊고 넓음

S-T 세그먼트는 등치선보다 훨씬 높으며 E-T(양수)와 병합됩니다.

Standard Isegment S – T는 등위선 위에서 천천히 감소합니다. 흉부 I-VI(항상 그런 것은 아님) 세그먼트 S – T는 등위선 아래에 있고 EZ는 음수 값으로 변형됩니다.

Q-경색 전방 심내막하

리드병리 징후표준. I, 그리고 왼손에서 가슴 I-IVzT는 치아 R표준 아래에 있는 양성입니다. II-III 세그먼트 S – T는 등치선 위에서 천천히 감소하고, 3T는 음수입니다. 흉부 V-VI 3T는 50% 양성이고 나머지 50%는 등치선 약간 아래에 있습니다.

후방 심내막하 비Q 경색

리드 표준. II,III, 오른쪽 다리부터 흉부 V-VI.

병리 징후 - z R – 감소, zT – 양성, Q 파 없이 세그먼트가 약간 감소합니다.

ECG 수행의 어려움

치아와 공간의 위치는 다음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에 초과 중량환자는 심장의 전기 위치에 변화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이전 MI의 심장 상처로 인해 새로운 변화를 감지할 수 없습니다.
  • 좌속가지를 따라 차단되는 형태의 전도 장애의 경우 IHD를 식별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며,
  • 동맥류 동안의 "동결" ECG는 심장 기능에 새로운 변화를 나타내지 않습니다.

ECG의 도움으로 허혈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테이블을 제시해 보겠습니다.


심장마비(위도 경색 - ) - 혈액 공급 중단으로 인한 조직 괴사 (사망).

혈류를 멈추는 이유는 막힘(혈전증, 혈전색전증)부터 날카로운 혈관 경련까지 다양할 수 있습니다.

심장 마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어느 기관에서나, 예를 들어 뇌경색(뇌졸중)이나 신장경색이 있습니다.

일상생활에서 '심장마비'라는 단어는 정확히 '심장마비'라는 뜻이다. 심근 경색증", 즉. 회저 근육 조직마음.

일반적으로 모든 심장마비는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허혈성(더 자주) 그리고 출혈성.

허혈성 경색의 경우 어떤 장애물로 인해 동맥을 통한 혈액의 흐름이 중단되고, 출혈성 경색의 경우 동맥이 파열(파열)되어 혈액이 주변 조직으로 방출됩니다.

심근경색은 심장 근육에 무질서하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특정 장소에서.

사실 심장은 여러 관상동맥과 그 가지를 통해 대동맥으로부터 동맥혈을 받습니다. 사용하는 경우 관상동맥조영술어느 수준, 어느 혈관에서 혈류가 멈췄는지 알아내면 심근의 어느 부분에 문제가 있는지 예측할 수 있습니다. 국소 빈혈(산소 부족). 그 반대.

심근경색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발생합니다.
하나 이상의 심장 동맥을 통한 혈액의 흐름.

우리는 마음이 있다는 것을 기억합니다심실 2개와 심방 2개그러므로 논리적으로 그들은 모두 같은 확률로 심장마비의 영향을 받아야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늘 심장마비로 고통받는 곳은 좌심실이다. , 벽이 가장 두껍기 때문에 엄청난 부하를 받고 많은 혈액 공급이 필요합니다.

섹션의 심장 챔버.
좌심실의 벽은 우심실보다 훨씬 두껍습니다.

고립성 심방 및 우심실 경색- 엄청난 희소성. 대부분 허혈이 좌심실에서 오른쪽 또는 심방으로 이동할 때 좌심실과 동시에 영향을 받습니다.

병리학자에 따르면 경색의 확산은 좌심실에서 우심실까지 10~40%에서 관찰됨심장 마비가 있는 모든 환자(전환은 일반적으로 심장의 후벽을 따라 발생함). 아트리움으로의 전환이 발생합니다. 1~17%사례.

ECG의 심근 괴사의 단계

심전도 검사에서 건강한 심근과 죽은(괴사성) 심근 사이에는 다음이 있습니다. 중간 단계: 허혈 및 손상.

ECG 모양은 정상입니다.

따라서 심장 마비 중 심근 손상 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허혈: 이것은 심근의 초기 손상이며,심장 근육에는 아직 미세한 변화가 없지만, 이미 기능이 부분적으로 손상되어 있습니다..

주기의 첫 번째 부분에서 기억해야 하는 것처럼, 두 가지 반대 과정이 신경 세포와 근육 세포의 세포막에서 순차적으로 발생합니다. 탈분극(흥분) 그리고 재분극(전위차의 회복).

탈분극은 농도 차이로 인해 이온이 세포 외부와 내부로 흐르는 세포막의 이온 채널만 열면 되는 간단한 과정입니다.

탈분극과는 달리, 재분극은 에너지 집약적인 과정이다, ATP 형태의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ATP 합성에는 산소가 필요하므로 심근 허혈 중에 재분극 과정이 먼저 고통 받기 시작합니다. 재분극 장애는 T파의 변화로 나타납니다..

허혈 중 T파 변화의 변형:

a - 표준,

비 - 음의 대칭 "관상" T파 (심장마비 중에 발생)
V - 높은 양성 대칭 "관상동맥" T파(심장마비 및 기타 여러 병리 동반, 아래 참조),
d, e - 2상 T파,
e - 감소된 T파(1/10-1/8 R파 미만의 진폭),
g - 평활화된 T파,
h - 약하게 음의 T 파.

심근 허혈의 경우 QRS 복합체와 ST 세그먼트는 정상이지만 T 파가 변경됩니다. 즉, 넓어지고 대칭이 되며 등측이 되고 진폭(스팬)이 증가하며 정점이 뾰족해집니다.

이 경우 T파는 양수일 수도 있고 음수일 수도 있습니다. 이는 심장벽 두께의 허혈성 초점 위치와 선택된 ECG 리드의 방향에 따라 달라집니다.

허혈 - 가역적 현상, 시간이 지나면서 신진대사(대사)가 정상으로 회복되거나 손상단계로 전환되면서 계속 악화됩니다.

2) 피해: 이것 더 깊은 패배심근현미경으로 결정액포 수의 증가, 근육 섬유의 부종 및 퇴화, 막 구조 파괴, 미토콘드리아 기능, 산증(환경의 산성화) 등 탈분극과 재분극이 모두 고통받습니다. 부상은 주로 ST 분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ST 세그먼트는 기준선 위 또는 아래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 그러나 손상되면 아크(이것이 중요합니다!)변위 방향으로 볼록.

따라서 심근이 손상되면 ST 분절의 원호가 변위쪽으로 향하게 되는데, 이는 호가 등치선을 향하는 다른 많은 조건(심실 비대, 속분지 차단 등)과 구별됩니다.

손상 시 ST 세그먼트 변위 옵션.

T파손상되면 모양과 크기가 다를 수 있으며 이는 수반되는 허혈의 심각도에 따라 다릅니다. 손상은 오랫동안 존재할 수 없으며 허혈이나 괴사로 변합니다.

3) 괴사: 심근사망. 죽은 심근은 탈분극할 수 없으므로 죽은 세포는 심실 QRS 복합체에서 R파를 형성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언제경벽경색(심장 벽의 전체 두께를 따라 특정 영역에서 심근의 죽음) 이 치아의 ECG 리드에서R이 아예 없네, 그리고 형성된다 심실 복합형 QS. 괴사가 심근벽의 일부에만 영향을 미친 경우 다음과 같은 복합체가 발생합니다.QrS, 정상에 비해 R파가 감소하고 Q파가 증가하는 경우입니다.

심실 옵션 QRS 콤플렉스.

정상적인 치아 Q와 R은 여러 규칙을 따라야 합니다. , 예를 들어:

  • Q파는 V4-V6에 항상 존재해야 합니다.
  • Q파의 폭은 0.03초를 초과해서는 안 되며, 진폭은 이 리드에서 R파 진폭의 1/4을 초과해서는 안 됩니다.
  • 갈래 R은 V1에서 V4로 진폭이 증가해야 합니다.(즉, V1에서 V4까지의 각 후속 리드에서 R 파는 이전 파동보다 더 높아야 합니다).
  • V1에서는 r파가 일반적으로 없을 수 있습니다., 심실 복합체는 QS 형태를 갖습니다. 30세 미만의 사람에서는 QS 복합체가 일반적으로 V1-V2에 있을 수 있고 어린이의 경우에도 V1-V3에 있을 수 있지만 이는 항상 의심스럽습니다. 심실중격 앞부분의 경색.

경색 부위에 따라 ECG는 어떻게 보입니까?

그러니까 쉽게 말하면, 괴사는 Q 파에 영향을 미칩니다그리고 전체 심실 QRS 복합체. 손상영향을 미치다 ST 세그먼트. 국소 빈혈영향을 미치다 T파.

ECG에서 파동이 형성되는 것은 정상입니다..

심장 벽을 따라 전극의 양극 끝이 있습니다(1번부터 7번까지).

이해하기 쉽도록 표시된 각 리드에 기록되는 ECG 영역을 명확하게 보여주는 조건부 선을 그렸습니다.

경색 영역에 따른 ECG의 개략도.

  • 전극 번호 1: 경벽 경색 영역 위에 위치하므로 심실 복합체는 QS 모양을 갖습니다.
  • 2번: 비경벽 경색(QR) 및 경벽 손상(위로 볼록한 ST 상승).
  • 3번: 경벽 손상(상방으로 볼록한 ST 상승).
  • 4번: 여기 원본 그림에서는 명확하지 않지만 설명에서는 전극이 경벽 손상(ST 상승) 및 경벽 허혈(음의 대칭 "관상" T파) 영역 위에 위치함을 나타냅니다.
  • 5번: 경벽 허혈 구역 위(음성 대칭 "관상동맥" T파).
  • 6번: 허혈 구역의 주변부(이상 T파, 즉 파동 형태. T파의 첫 번째 단계는 양성 또는 음성일 수 있습니다. 두 번째 단계는 첫 번째 단계와 반대입니다).
  • 7번: 허혈 구역에서 멀리 떨어져 있음(감소되거나 평탄화된 T파).

여기 여러분이 직접 볼 수 있는 또 다른 사진이 있습니다.

경색 영역에 대한 ECG 변화 유형의 의존성에 대한 또 다른 다이어그램.

ECG의 경색 발달 단계

심장 마비 발병 단계의 의미는 매우 간단합니다.

심근의 어느 부분에서든 혈액 공급이 완전히 중단되면 이 부위의 중앙에서 근육 세포가 빠르게(수십 분 이내에) 죽습니다. 병변 주변에서는 세포가 즉시 죽지 않습니다. 많은 세포가 점차적으로 "복구"됩니다. 나머지는 돌이킬 수 없게 죽습니다(허혈과 손상 단계가 너무 오랫동안 존재할 수 없다고 위에서 어떻게 썼는지 기억하십니까?).

이러한 모든 과정은 심근경색의 발달 단계에 반영됩니다.

그 중 네 가지가 있습니다.

급성, 급성, 아급성, 반흔성.

1) 경색의 가장 급성기(손상단계) 대략적인 기간이 있습니다 3시간부터 3일까지.

괴사와 이에 상응하는 Q파가 형성되기 시작할 수 있지만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Q파가 형성되면 이 리드의 R파 높이가 감소하여 종종 완전히 사라지는 지점까지 감소합니다(경벽경색이 있는 QS 복합체).

심근 경색의 가장 급성 단계의 주요 ECG 특징은 소위 형성입니다. 단상 곡선. 단상 곡선은 다음으로 구성됩니다. ST 세그먼트 고도 및 키가 큰 양의 T파, 함께 병합됩니다.

등고선 위의 ST 세그먼트 변위 4mm 이상 12개의 일반 리드 중 적어도 하나에서 심장 손상의 심각성을 나타냅니다.

메모.가장 세심한 방문객은 심근 경색이 시작될 수 없다고 말할 것입니다. 손상 단계, 표준 단계와 손상 단계 사이에는 위에서 설명한 단계가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허혈성 단계! 오른쪽. 그러나 허혈성 단계는 15~30분, 그렇기 때문에 구급차일반적으로 ECG에 등록할 시간이 없습니다. 그러나 이것이 가능하다면 ECG는 다음을 보여줍니다. 키가 큰 양의 대칭 "관상형" T파, 특징 심내막하 허혈. 심장 벽 심근의 가장 취약한 부분이 심장 내막 아래에 있습니다. 고혈압, 이는 심근으로의 혈액 공급을 방해합니다(심장 동맥 뒤쪽에서 혈액을 "압착").

2) 급성기지속 최대 2~3주(기억하기 쉽도록 - 최대 3주)

허혈 및 손상 부위가 감소하기 시작합니다.

괴사 영역이 확장되고, Q파도 확장되어 진폭이 증가합니다..

Q파가 급성기에 나타나지 않으면 급성기에 형성된다(단, 심장마비 및 Q파가 없는 경우, 아래에서 이에 대해 설명합니다.) ST 세그먼트피해지역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점차 등거리선에 가까워지기 시작한다, ㅏ T파된다 음의 대칭 "관상동맥"손상된 부위 주변에 경벽 허혈 구역이 형성되었기 때문입니다.

3) 이하 급성기 최대 3개월까지 지속되며 때로는 더 길어질 수도 있습니다.

허혈성 영역으로의 전환으로 인해 손상 영역이 사라지고(따라서 ST 세그먼트가 등치선에 가까워짐), 괴사 구역이 안정화됩니다.(그래서 대략 실제 경색 크기이 단계에서 판단됩니다.)

아급성기 전반기에는 허혈대의 확장으로 인해 음성 T파가 넓어지고 진폭이 증가합니다.거대하기까지.

후반에는 허혈 영역이 점차 사라지고 T파의 정상화가 동반됩니다(진폭이 감소하고 양성이 되는 경향이 있음).

특히 T파 변화의 역학이 눈에 띕니다. 주변에허혈성 구역.

ST 구간 상승이 정상으로 돌아오지 않는 경우 심장마비 발생 후 3주 후, 다음을 수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심장초음파검사(EchoCG)제외하다 심장 동맥류(느린 혈류로 벽이 주머니 모양으로 팽창함)

4) 흉터 단계 심근 경색증.

이것은 괴사 부위에 내구성 있는 층이 형성되는 마지막 단계입니다. 결합 조직 흉터. 흥분하지 않고 수축하지 않기 때문에 심전도에 Q 파로 나타납니다. 흉터는 여느 흉터와 마찬가지로 평생 동안 남아 있기 때문에 심장 마비의 흉터 단계는 심장의 마지막 수축까지 지속됩니다. .

심근경색의 단계.

어느 흉터 단계에서 ECG 변화가 발생합니까?흉터 부위(따라서 Q파)는 어느 정도 감소하다때문에:

  1. 수축 ( 두꺼워짐) 흉터 조직, 이는 심근의 온전한 영역을 하나로 모읍니다.
  2. 보상성 비대(증가) 건강한 심근의 인접 부위.

흉터 단계에는 손상 및 허혈 영역이 없으므로 ST 세그먼트가 등치선에 있고 T파는 양수, 감소 또는 평활화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흉터 단계에서는 여전히 기록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작은 음의 T 파, 이는 상수와 연관되어 있습니다. 흉터 조직에 의한 인접한 건강한 심근의 자극. 이러한 경우 T파의 진폭은 다음을 초과해서는 안 됩니다. 5mm동일한 리드에서 Q 또는 R 파의 절반보다 길어서는 안 됩니다.

기억하기 쉽도록 모든 단계의 기간은 3의 법칙을 따르며 점진적으로 늘어납니다.

  • 최대 30분(허혈 단계),
  • 최대 3일(급성기),
  • 최대 3주(급성기),
  • 최대 3개월(아급성기),
  • 남은 생애 (상처 단계).

일반적으로 경색 단계에는 다른 분류가 있습니다.

심전도에 대한 경색의 감별진단

동일한 충격에 대한 신체의 모든 반응은 현미경 수준의 다른 조직에서 발생합니다. 같은 종류.

이러한 복잡한 순차 반응 세트를 다음과 같이 부릅니다. 전형적인 병리학적 과정.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염증, 발열, 저산소증, 종양 성장, 영양 장애등.

괴사가 발생하면 염증이 발생하여 결합 조직이 형성됩니다.

위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심장마비위도에서 왔습니다. 경색증 - , 이는 염증, 부종, 혈액 세포가 영향을 받은 기관으로 이동하여 결과적으로 발생합니다. 밀봉하다.

현미경 수준에서 염증은 신체 어느 곳에서나 동일한 방식으로 발생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경색과 유사한 심전도 변화또한 있다 심장 부상 및 심장 종양의 경우(심장 전이).

모든 "의심스러운" T파, 이탈된 ST 세그먼트 또는 갑자기 나타나는 Q파가 심장마비로 인해 발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정상 진폭 T파 R 파 진폭의 1/10에서 1/8 범위입니다.

높은 양성 대칭 "관상동맥" T파는 허혈뿐만 아니라 다음과 같은 경우에도 발생합니다. 고칼륨혈증, 미주신경긴장 증가, 심낭염등.

고칼륨혈증에 대한 ECG(A - 정상, B-E - 고칼륨혈증 증가).

T파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도 비정상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호르몬 불균형(갑상선 기능 항진증, 폐경기 심근 이영양증) 및 복합체의 변화 QRS(예: 번들 분기 블록 사용) 그리고 이것이 모든 이유는 아닙니다.

ST분절과 T파의 특징
다양한 병리학적 상태에 대해.

ST 세그먼트아마도 등고선 위로 올라가다심근 손상이나 경색뿐만 아니라 다음과 같은 경우도 있습니다.

  • 심장 동맥류,
  • PE(혈전색전증 폐동맥),
  • 프린츠메탈 협심증,
  • 급성 췌장염,
  • 심낭염,
  • 관상동맥조영술,
  • 이차 - 다발 분지 차단, 심실 비대, 조기 심실 재분극 증후군 등

폐색전증에 대한 ECG 옵션: 맥진-화이트 증후군
(리드 I의 깊은 S파, 리드 III의 깊은 Q 및 음의 T파).

ST분절 우울증심장마비나 심근 손상뿐만 아니라 다른 이유도 유발합니다.

  • 심근염, 독성 심근 손상,
  • 심장배당체, 아미나진 복용,
  • 빈맥 후 증후군,
  • 저칼륨혈증,
  • 반사적 원인 - 급성췌장염, 담낭염, 위궤양, 열공탈장 등
  • 쇼크, 심한 빈혈, 급성 호흡 부전,
  • 급성 장애 대뇌 순환,
  • 간질, 정신병, 뇌의 종양 및 염증,
  • 배고픔이나 과식
  • 일산화탄소 중독,
  • 이차 - 번들 분지 차단, 심실 비대 등

Q파심근경색에 가장 구체적이지만, 일시적으로 나타났다가 사라진다다음과 같은 경우:

  • 뇌경색(특히 지주막하 출혈),
  • 급성 췌장염,
  • 관상동맥조영술,
  • 요독증(급성 및 만성 신부전의 말기),
  • 고칼륨혈증,
  • 심근염 등

위에서 언급했듯이 Q파가 없는 심장마비심전도에. 예를 들어:

  1. 언제 심내막하경색좌심실의 심내막 근처에서 얇은 심근층이 죽을 때. 이 영역에서는 자극이 빠르게 통과하기 때문에Q파가 형성될 시간이 없습니다. 심전도에 R 파고 감소(심근 일부의 흥분 상실로 인해)ST 세그먼트는 아래쪽으로 볼록한 등치선 아래로 내려갑니다..
  2. 교내경색심근 (벽 내부) - 심근벽의 두께에 위치하며 심내막이나 심 외막에 도달하지 않습니다. 여기는 양쪽의 경색 영역을 우회하므로 Q파가 없습니다. 그러나 경색 지역 주변에는경벽 허혈, 이는 ECG에서 음성 대칭 "관상동맥" T파로 나타납니다. 따라서 벽내 심근경색은 외관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음의 대칭 T파.

너도 그걸 기억해야 해 ECG는 연구 방법 중 하나일 뿐입니다.매우 중요한 방법이지만 진단을 내릴 때. 안에 드문 경우지만(괴사 구역의 비정형 국소화로) 정상적인 ECG에서도 심근 경색이 가능합니다! 이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ECG는 심장마비를 다른 병리와 어떻게 구별합니까?

2가지 주요 특성을 기반으로 합니다.

1) ECG의 특징적인 역학.

ECG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치아와 심장마비의 전형적인 부분의 모양, 크기, 위치의 변화를 보여주면 심근경색에 대해 높은 수준의 확신을 가지고 말할 수 있습니다.

병원의 심장마비과에서 ECG는 매일 수행됩니다..

ECG에서 심장마비의 역학을 더 쉽게 평가하기 위해(가장 영향을 받은 부위의 주변에 표현됨) 신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흉부 전극 배치를 위한 표시후속 병원 ECG는 완전히 동일하게 흉부 리드에서 촬영됩니다.

여기서 중요한 결론은 다음과 같습니다. 과거에 환자의 심전도에서 병리학적 변화가 발견된 경우, 집에 ECG의 "대조" 사본을 두는 것이 좋습니다.응급 의사가 새로운 ECG를 이전 ECG와 비교하고 감지된 변화의 나이에 대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환자가 이전에 심근경색을 앓은 적이 있는 경우, 이 추천된다 철칙. 심장마비를 경험한 모든 환자는 퇴원 시 추적 심전도를 받고 거주하는 곳에 보관해야 합니다. 장거리 여행에는 꼭 가지고 가세요.

2) 호혜성의 존재.

상호 변화는 "거울"(등치선 기준) 반대쪽 벽의 ECG 변화좌심실. 여기서는 ECG의 전극 방향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심장 중심(심실 중격의 중간)을 전극의 "0"으로 간주하므로 심장강의 한쪽 벽은 양의 방향에 있고 반대쪽 벽은 음의 방향에 있습니다.

원칙은 이렇습니다.

  • Q파의 경우 상호 변화는 다음과 같습니다. R 파 확대, 그 반대.
  • ST 세그먼트가 등치선 위로 이동하면 상호 변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이소라인 아래의 ST 오프셋, 그 반대.
  • 높은 양의 "관상" T파의 경우 상호 변화는 다음과 같습니다. 부정적인 T 파, 그 반대.

후방 횡격막(하부) 심근경색에 대한 ECG.
직접리드 II, III 및 aVF에서 징후가 보입니다.역수- V1-V4에서.

ECG의 상호 변화어떤 상황에서는 그들은 유일한 사람입니다, 심장 마비를 의심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후기저핵(후방) 경색을 동반한 경우심근, 경색의 직접적인 징후는 리드에만 기록될 수 있습니다.하늘을 가로질러 D(등쪽)[e를 읽다] 그리고 추가 가슴 리드 V7-V9, 이는 표준 12에 포함되지 않으며 요청 시에만 수행됩니다.

추가 흉부 리드 V7-V9.

일치 ECG 요소 - 서로 다른 리드에 있는 동일한 ECG 파동의 등위선과 관련된 단방향성(즉, ST 세그먼트와 T파가 동일한 리드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향함) 심낭염에서 발생합니다.

그 반대 개념은 불화(다방향). 일반적으로 이는 R파와 관련하여 ST 세그먼트와 T파의 불일치를 의미합니다(ST는 한 방향으로, T는 다른 방향으로 벗어남). His 번들의 완전한 봉쇄의 특징입니다.

급성 심낭염 발병시 심전도:
Q파와 상호변화가 없는 특징
ST 세그먼트와 T 파의 일치하는 변화.

다음과 같은 경우 심장마비의 존재를 판단하는 것이 훨씬 더 어렵습니다. 뇌실내 전도 장애(다발 분지 차단), 그 자체로 심실 QRS 복합체에서 인식할 수 없을 정도로 ECG의 상당 부분을 T파로 변경합니다.

심장 마비의 유형

몇십년 전에 그들은 헤어졌어 경벽경색(심실 복합형 QS) 및 비경벽성 대초점 경색(QR 유형), 그러나 이것이 예후 및 가능한 합병증 측면에서 아무 것도 제공하지 않는다는 것이 곧 분명해졌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현재 심장마비는 간단히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 Q-경색(Q파 심근경색) 및 - 영어에서 일어나세요. 높이 ; 우울증 - 영어에서 축소.우울증 )

심근 경색증- 이것은 순환 장애로 인해 심장 근육 일부가 괴사 (괴사)되어 심장 근육에 산소 공급이 부족해지는 현상입니다. 심근 경색증오늘날 세계에서 사망과 장애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심근경색의 증상

증상에 따라 여러 유형의 심근경색이 있습니다.

협심증- 가장 일반적인 옵션. 이는 30분 이상 지속되고 약물(니트로글리세린)을 복용한 후에도 사라지지 않는 흉골 뒤의 심한 압박 또는 쥐어짜는 통증으로 나타납니다. 이 통증은 가슴 왼쪽뿐만 아니라 왼손, 턱과 등. 환자는 약점, 불안, 죽음에 대한 두려움, 심한 발한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천식- 호흡 곤란이나 질식, 강한 심장 박동이 있는 변형입니다. 호흡 곤란의 전조일 수 있지만 대부분 통증은 없습니다. 이 질병 발병 변형은 노인들에게 전형적입니다. 연령대이전에 심근경색을 앓은 적이 있는 사람들을 위한 것입니다.

위통증- 상복부에서 나타나는 비정상적인 통증의 국소화를 특징으로 하는 변종입니다. 견갑골과 등까지 퍼질 수 있습니다. 이 옵션에는 딸꾹질, 트림, 메스꺼움, 구토가 동반됩니다. 장폐색으로 인해 팽만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뇌혈관- 뇌허혈과 관련된 증상: 현기증, 실신, 메스꺼움, 구토, 공간 방향 감각 상실.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나면 진단이 복잡해지며, 이 경우에는 ECG의 도움을 통해서만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습니다.

부정맥- 주요 증상이 심계항진인 경우의 옵션: 심장 마비 및 작업 중단 느낌. 통증이 없거나 경미합니다. 허약함, 호흡 곤란, 기절또는 낙상으로 인한 기타 증상 혈압.

무증상- ECG를 촬영한 후에만 이전 심근경색을 감지할 수 있는 옵션입니다. 그러나 심장마비는 원인 없는 허약, 숨가쁨, 심장 기능 장애 등의 경미한 증상이 선행될 수 있습니다.

어떤 종류의 심근경색이라도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ECG를 실시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기회가 생겼네요 조기 발견심장 기능이 저하되어 심근경색을 예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심근경색의 원인

심근경색의 주요 원인은 관상동맥을 통한 혈류 장애입니다. 이 병리학 발달의 주요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관상동맥혈전증(동맥 내강의 급성 막힘), 이는 가장 흔히 심장벽의 큰 초점(경벽) 괴사로 이어집니다.
  2. 관상 동맥 협착증(동맥 입구의 급성 협착 죽상동맥경화반, 혈전), 일반적으로 대규모 초점 심근 경색으로 이어집니다.
  3. 협착성 관상동맥경화증(여러 관상동맥 내강의 급성 협착) 이는 소초점, 주로 심내막하 심근경색을 유발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심근 경색은 죽상 동맥 경화증, 동맥 고혈압 및 진성 당뇨병. 흡연, 앉아서 생활하는 생활방식, 비만도 심근경색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심근 산소 요구량을 증가시키는 조건은 심근경색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신경 긴장,
  • 과도한 육체적 스트레스,
  • 흥분,
  • 대기압의 변화,
  • 수술(덜 자주).

처음으로 밀어붙이기 병리학적 변화냉각 기능이 제공될 수 있으므로 심근경색 발생의 계절성이 주목됩니다. 기온이 낮은 겨울철에 발병률이 가장 높고 여름철에 가장 낮습니다.
그러나 과도한 열도 이 병리의 발달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인플루엔자가 유행한 이후에는 심근경색 발병 사례도 증가합니다.

심근경색의 분류

심근경색에는 여러 가지 분류가 있습니다.

  • 병변의 해부학적 구조에 따라(경벽, 벽내, 심내막하, 심외막하);
  • 괴사 초점의 국소화 (좌심실 심근 경색, 우심실 심근 경색, 심장 정점의 고립 된 심근 경색, 중격 - 심실 중격의 심근 경색, 결합 된 국소화);
  • 병변 부피별(큰 초점(Q-경색), 작은 초점(Q-경색 아님))
  • 발달 단계별(급성, 급성, 아급성 및 흉터 기간).

심근경색을 진단하는 주요 방법은 ECG입니다. 심장의 전기 신호는 ECG 기계에 연결된 전극을 사용하여 신체 표면에 기록됩니다. 팔다리에 배치된 전극에서 제거되는 6개의 표준 리드(I, II, III, avR, avL, avF)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병리를 등록하기에 충분합니다. 심장 기능에 대한 보다 자세한 분석을 위해 의사는 12개의 표준 리드(추가로 흉부 리드 V1-V6)를 살펴봅니다. 의사가 아닌 일반 개인이 사용하는 카디오바이저에는 6개의 표준 리드가 등록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리드로부터 심장병 진단 결론을 내리기에 충분한 정보가 있습니다. 장치의 또 다른 수정(12개 리드)은 심장병 전문의가 주로 사용하며 심장병 판독값 외에도 흉부 리드의 심장 작동을 보다 자세히 살펴봅니다.
심근경색의 주요 징후가 있습니다. 그림을 분석해 봅시다. 첫 번째는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심장의 심전도를 보여줍니다.

두 번째 - 심근 경색의 주요 징후가있는 ECG.

손상 부위에 따라 두 가지 유형의 경색이 있습니다.

1. 경벽성(심근의 모든 층을 침범하는 괴사), Q-경색. 이 유형은 다음과 같은 ECG 패턴이 특징입니다.

A - 전극, Q파 등록,
B - R파 기록을 목표로 하는 전극).

R파와 Q파의 진폭을 측정하면 경색 부위의 심장 손상 깊이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대초점 심근경색은 경벽성(이 경우 R파가 없음)과 심외막하로 구분됩니다. 경벽성 심근경색의 경우 QS 복합체는 다음 리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록됩니다: aVL, I, II, III, aVF 또는 QR(Q가 0.03초 이상이고 Q/R이 1/3 이상인 경우) II, III, aVF의 R파).

2. (Q-경색 아님).
소초점경색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첫 번째 유형은 심내막하 경색(심내막에 인접한 심장 부위의 괴사)입니다(그림 4).

심내막하경색의 주요 ECG 징후는 변위입니다. S-T 구간등전선 아래에서는 병리학적 Q파가 리드 aVL 및 I에 기록되지 않습니다.

두 번째 유형의 소초점경색은 다음과 같습니다. 교내(심근벽이 괴사되었으나 심내막과 심외막은 손상되지 않음)

특정 단계가 있으며 다음 단계가 포함됩니다.

1. 심각한- 허혈 발생부터 괴사 발생까지 몇 분 또는 몇 시간 동안 지속됩니다. 불안정한 혈압이 관찰됩니다.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유명한 동맥 고혈압, 때로는 혈압이 감소합니다. 심실세동의 위험이 높습니다.

2. 매운- 괴사의 최종 부위가 형성되고 주변 조직의 염증이 발생하며 흉터가 형성되는 기간. 2시간에서 10일까지 지속됩니다(장기적이고 반복적인 과정 - 더 길어짐). 이 기간 동안 혈압 감소(대개 수축기 혈압)의 형태로 나타나고 폐부종 또는 심장성 쇼크가 발생할 수 있는 혈역학적 장애가 발생합니다. 혈역학의 악화는 뇌로의 혈액 공급 중단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다음과 같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신경학적 증상, 노인의 경우 정신 장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심근경색의 초기에는 심장 근육이 파열될 확률이 높습니다. 관상동맥의 다혈관 협착 병변이 있는 환자의 경우, 경색후 초기 협심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기간 동안 심전도에 다음과 같은 변화가 나타납니다.

심근 경색증: 일반 원칙심전도 진단.

경색(괴사) 동안 근육 섬유는 죽습니다. 괴사는 일반적으로 관상동맥의 혈전증이나 장기간의 경련, 협착성 관상동맥 경화증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괴사 영역은 흥분되지 않으며 EMF를 생성하지 않습니다. 괴사 부위는 창을 통해 심장으로 침투하고 경벽 (완전 깊이) 괴사로 인해 심장의 강내 잠재력이 심 외막 아래 영역으로 침투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좌심실에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이 영향을 받기 때문에 좌심실에서 심장마비가 발생합니다. 우심실 경색은 훨씬 덜 자주 발생합니다(1% 미만).

심전도를 통해 심근경색(괴사)을 진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치, 크기, 괴사의 깊이, 진행 단계 및 일부 합병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관상동맥 혈류가 급격히 중단되면 심장 근육에서 저산소증(허혈), 손상, 마지막으로 괴사(경색)의 3가지 과정이 순차적으로 발생합니다. 경색 전 단계의 기간은 혈류 장애의 정도와 속도, 측부 발달 등 여러 가지 이유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수십 분에서 몇 시간 동안 지속됩니다.

허혈과 손상의 과정은 매뉴얼의 이전 페이지에 요약되어 있습니다. 괴사의 발생은 심전도의 QRS 부분에 영향을 미칩니다.

괴사 영역 위에서 활성 전극은 병리학적 Q파(QS)를 기록합니다.

이를 상기시켜 드리겠습니다. 건강한 사람좌심실(V5-6, I, aVL)의 전위를 반영하는 리드에서는 심장 중격의 여기 벡터를 반영하여 생리학적 q파가 기록될 수 있습니다. aVR을 제외한 모든 리드의 생리학적 q파는 기록된 R파의 1/4을 초과할 수 없고 0.03초보다 길어서는 안 됩니다.

괴사의 심외막하 투영 위의 심장 근육에서 경벽 괴사가 발생하면 좌심실의 강내 전위가 기록되며 이는 공식 QS, 즉 하나의 큰 부정적인 치아로 표시됩니다. 괴사와 함께 기능하는 심근 섬유도 있으면 심실 복합체의 공식은 Qr 또는 QR입니다. 더욱이, 이 기능층이 클수록 R파가 높아집니다. 괴사의 경우 Q파는 괴사파의 특성을 갖습니다. 진폭이 R파의 1/4 이상이고 0.03초보다 길습니다.

예외는 공동 내 전위가 일반적으로 기록되는 리드 aVR이므로 이 리드의 ECG 공식은 QS, Qr 또는 rS입니다.

또 다른 규칙: 분기되거나 들쭉날쭉한 Q파는 가장 흔히 병리학적이며 괴사(심근경색)를 반영합니다.

허혈, 손상, 괴사의 세 가지 순차적 과정에서 심전도 형성에 대한 애니메이션을 살펴보세요.

국소 빈혈:

손상:

회저:

따라서 심근 괴사 (경색) 진단을위한 주요 질문에 대한 답변이 이루어졌습니다. 경벽 괴사의 경우 괴사 구역 위에 위치한 리드의 심전도는 위 복합체 QS의 공식을 갖습니다. 비경벽 괴사의 경우 심실 복합체는 Qr 또는 QR 모양을 갖습니다.

또 다른 중요한 패턴은 심장 마비의 특징입니다. 괴사의 초점 반대 영역에 위치한 리드에는 거울 (상호, 불일치) 변화가 기록됩니다. Q 파는 R 파에 해당하고 r(R) 파 s(S) 파에 해당합니다. ST 세그먼트가 경색 구역 위의 호만큼 위쪽으로 올라가면 반대쪽 영역에서는 아래쪽으로 호만큼 낮아집니다(그림 참조).

경색의 국소화.

심전도를 통해 좌심실 후벽, 중격, 전벽, 측벽 및 좌심실 기저벽의 경색을 구별할 수 있습니다.

아래 표는 표준 심전도 연구에 포함된 12개의 리드를 사용하여 심근경색의 다양한 국소화를 진단하는 표입니다.

+ 트리트먼트

심근 경색증

국소 진단의 다양한 ECG 리드 초점 변화심근. W. Einthoven(1903)의 세 가지 고전(표준) 리드 사용을 시작으로 ECG 개발의 모든 단계에서 연구자들은 실무자에게 생체 전위를 기록하기 위한 간단하고 정확하며 가장 유익한 방법을 제공하려고 했습니다. 심장병 환자근육. 심전도를 기록하는 새로운 최적의 방법에 대한 끊임없는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상당한 증가리드의 수는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표준 ECG 리드 기록의 기본은 아인트호벤 삼각형이며, 그 각도는 오른쪽 팔과 왼쪽 팔, 왼쪽 다리의 세 가지 팔다리로 구성됩니다. 삼각형의 각 변은 외전축을 형성합니다. 첫 번째 리드(I)는 오른손과 왼손에 적용된 전극 사이의 전위차로 인해 형성되고, 두 번째(II)는 오른손과 왼쪽 다리의 전극 사이, 세 번째(III)는 전극 사이에 형성됩니다. 왼쪽 손과 왼쪽 다리.

표준 리드를 사용하면 심장 좌심실의 전벽(I 리드)과 후벽(III 리드) 모두에서 초점 변화를 감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추가 연구에 따르면 일부 경우 표준 리드는 심근의 전체적인 변화조차 전혀 나타내지 않거나 리드 그래프의 변화로 인해 초점 변화에 대한 잘못된 진단이 발생합니다. 특히, 좌심실의 기저 측면 부분의 변화가 항상 리드 I에 반영되는 것은 아니며 기저-후방 부분-리드 III에 반영됩니다.

깊은 Q파와 리드 III의 음의 T파는 정상일 수 있지만, 흡기 중에는 이러한 변화가 사라지거나 감소하고 avF, avL, D 및 Y와 같은 추가 리드에는 없습니다. 음의 T파는 비대의 표현일 수 있습니다. 및 과부하와 관련하여 심전도의 다양한 리드에서 감지된 전체 변화를 기반으로 결론이 제공됩니다.

전극이 심장에 접근하면 기록된 전위가 증가하고 심전도의 모양은 주로 가슴에 위치한 전극에 의해 결정되므로 표준 전극을 사용하기 시작한 직후입니다.

이러한 리드를 기록하는 원리는 차동(메인, 기록) 전극이 가슴 위치에 위치하고 무관심 전극이 세 팔다리(오른쪽 또는 왼쪽 팔 또는 왼쪽 다리) 중 하나에 위치한다는 것입니다. 무관심 전극의 위치에 따라 가슴 리드 CR, CL, CF가 구별됩니다(C - 가슴 - 가슴, R - 오른쪽 - 오른쪽, L - 링크 - 왼쪽, F - 발 - 다리).

특히 장기 CR 리드는 실제 의학에서 사용되었습니다. 이 경우 하나의 전극은 오른쪽(무관심)에 배치하고 다른 하나(다른, 기록)는 가슴 부위의 1~6 또는 9(CR 1-9) 위치에 배치했습니다. 첫 번째 위치에서 트림 전극은 흉골의 오른쪽 가장자리를 따라 네 번째 늑간 공간에 적용되었습니다. 두 번째 위치 - 흉골의 왼쪽 가장자리를 따라 네 번째 늑간 공간에 있습니다. 세 번째 위치 - 두 번째 위치와 네 번째 위치를 연결하는 선의 중앙에 있습니다. 4 번째 위치 - 쇄골 중앙선을 따라 5 번째 늑간 공간까지; 5, 6 및 7 위치 - 4 위치 수준의 전방, 중간 및 후방 겨드랑이 선을 따라, 8 및 9 위치 - 4 위치 수준의 견갑골 및 척추 주위 선을 따라 . 아래에서 볼 수 있듯이 이러한 위치는 오늘날까지 보존되었으며 Wilson에 따르면 ECG를 기록하는 데 사용됩니다.

그러나 나중에 무관심한 전극 자체와 다른 팔다리의 위치가 심전도의 모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무관심한 전극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F. Wilson(1934)은 팔다리의 세 개의 전극을 하나로 결합하고 5000Ω의 저항을 통해 검류계에 연결했습니다. "0" 전위를 가진 이러한 무관심한 전극의 생성으로 F. Wilson은 가슴과 팔다리에서 단극(단극) 리드를 개발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리드의 등록 원리는 위에서 언급한 무관심 전극이 검류계의 한 극에 연결되고 트림 전극이 다른 극에 연결되며 이는 위의 가슴 위치(V 1-9. 여기서 V는 볼트) 또는 오른쪽 팔(VR), 왼쪽 팔(VL) 및 왼쪽 다리(VF)에 있습니다.

Wilson 흉부 리드를 사용하면 심근 병변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리드 V 1-4는 전벽의 변화, V 1-3 - 전안방 영역, V 4 - 정점, V 5 - 전방 및 부분적으로 측면 벽, V 6 - 측면의 변화를 반영합니다. 벽, V 7 - 측면 및 부분적으로 후벽, V 8-9 - 후벽 및 심실 중격. 그러나 V8-9 리드는 전극을 적용하는 불편함과 심전도파의 진폭이 작아 널리 사용되지는 않는다. 찾을 수 없음 실용적인 응용 프로그램윌슨 사지는 낮은 파동 전압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1942년에 Wilson의 사지 리드는 E. Golberger에 의해 수정되었습니다. 그는 추가 저항 없이 하나의 어셈블리로 결합된 두 사지의 와이어를 무관심 전극으로 사용하고 세 번째 사지의 자유 와이어를 무차별 전극으로 사용하도록 제안했습니다. 이 수정을 통해 동일한 이름의 Wilson 리드에 비해 파도의 진폭이 1.5배 증가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Golberger에 따르면 리드는 사지의 강화된(증강된) 단극 리드라고 불리기 시작했습니다. 리드를 기록하는 원리는 오른쪽 팔, 왼쪽 팔, 왼쪽 다리 중 하나에 무차별 전극을 교대로 적용하고 나머지 두 팔다리의 와이어를 하나의 무차별 전극으로 결합하는 것입니다. 오른쪽 팔에 트림 전극을 적용하면 Lead aVR이 기록되고, 왼쪽 팔에 Lead avL이 기록되고, 왼쪽 다리에 Lead avF가 기록됩니다. 이러한 리드를 실제로 도입함으로써 심전도 검사의 진단 기능이 크게 확장되었습니다. 심혈관 질환. Lead avR은 우심실과 심방의 변화를 가장 잘 반영합니다. 리드 avL과 avF는 심장의 위치를 ​​결정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요소입니다. 리드 avL은 다음에도 중요합니다. 진단좌심실 기저 측면 부분의 초점 변화, avF 리드 - 후벽, 특히 횡경막 부분.

현재 12개 리드(I, II, III, avR, avL, avF, V 1-6)의 ECG 등록은 필수입니다.

그러나 여러 경우에 진단일반적으로 허용되는 12개의 리드에 초점을 맞춘 변경은 어렵습니다. 이로 인해 많은 연구자들이 추가 단서를 검색하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때때로 그들은 더 높은 늑간 공간에서 유사한 위치에 흉부 리드를 등록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그런 다음 리드는 다음과 같이 지정됩니다. 늑간 공간은 위에 표시되고 흉부 전극의 위치는 아래에 표시됩니다 (예 : V 2 2. U 2 3 등) 또는 가슴 V의 오른쪽 절반에서 3R -V 7R.

더 널리 사용되는 추가 리드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양극성 흉부 리드네브에 따르면 리드를 기록하기 위해 그가 제안한 기술은 오른손의 전극을 흉골 가장자리의 오른쪽 두 번째 늑간 공간에 배치하고, 왼손의 전극을 흉골 높이의 후방 겨드랑선을 따라 배치하는 것입니다. 정점의 투영 마음(V 7), 왼쪽 다리의 전극은 근단 자극(V 4) 부위에 있습니다. 리드 스위치를 설치할 때 리드 D(배등)는 핀 I에 등록되고 리드 A(전방)는 핀 II에 등록되며 리드 I(하부)는 핀 III에 등록됩니다. 이러한 리드는 평면이 아닌 심장의 세 표면(후면, 전면 및 하부)의 전위를 지형학적으로 표시합니다.

대략적으로 리드 D는 V 6-7 리드에 해당하며 좌심실의 후벽을 반영합니다. 리드 A는 리드 V 4-5에 해당하며 좌심실의 전벽을 반영합니다. 리드 I은 리드 U 2-3에 해당하며 심실간 중격과 부분적으로 좌심실의 전안부를 반영합니다.

V. Neb에 따르면 초점 변화를 진단할 때 리드 D는 리드 III, avF 및 V 7 보다 후외측 벽에 더 민감합니다. 리드 A와 I는 전벽의 초점 변화를 진단하는 데 윌슨의 흉부 리드보다 더 민감합니다. V.I. Petrovsky (1961, 1967)에 따르면 납 D는 횡격막 부위의 초점 변화에 반응하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리드 III에서 발견되는 음의 T파와 심장의 수평 위치에서 리드 D의 양성 T파의 존재는 병리를 배제합니다.

우리 데이터에 따르면 직위와 상관없이 마음리드 D의 등록은 음의 T파뿐만 아니라 리드 III에 깊고 심지어 넓혀지지 않은 Q파가 있고 avF에 유사한 변화가 없는 경우 필수입니다. Lead avF는 주로 좌심실의 후횡격막 부분을 반영하고, Lead D는 후방 횡격막(기저-측면) 부분을 반영합니다. 따라서 좌심실 기저부의 경미한 변화는 리드 D에 반영되고 avF에는 없을 수 있으며, 리드 D와 avF의 변화의 조합은 좌심실 후벽의 병변이 더 광범위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리드 VE (E - ensiformis - septal)는 흉부 리드에 의해 기록되지만 검상 돌기 영역에 트림 전극이 설치됩니다. 리드는 중격 부위의 초점 변화를 반영합니다. 리드 V 1-2의 불분명한 변화에 사용됩니다.

좌심실 기저측 부분의 제한된 초점 변화 진단은 12개의 기존 리드를 사용하면 진행이 전벽과 후벽으로 퍼지지 않은 경우 종종 불가능합니다. 이러한 경우 등록을 고려해 볼 가치가 있습니다. Slapak a - Portilla 방법에 따른 반시상외전. 이 리드는 Neb에 따른 리드 D의 변형이므로 왼손의 무관심 전극은 위치 V 7에 배치됩니다. 오른손의 트림 전극은 두 지점을 연결하는 선을 따라 이동합니다. 하나는 흉골 왼쪽의 두 번째 늑간 공간에 있고 두 번째는 전방 겨드랑 선을 따라 두 번째 늑간 공간에 있습니다.

ECG는 다음 위치에 기록됩니다.

S 1 - 흉골 왼쪽의 두 번째 늑간 공간에 전극을 다듬습니다.

S 4 - S 1 수준의 전방 겨드랑이 선을 따라;

S 2 및 S 3 - 두 극점 사이(S 1과 S 4 사이)가 동일한 거리에 있습니다.

리드 스위치는 핀 I에 설치됩니다. 이 리드는 좌심실의 기저측 부분의 초점 변화를 기록합니다. 불행하게도 이러한 리드의 그래픽은 가슴의 모양과 심장의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어느 정도 달라집니다.

지난 20년 동안 직교 양극성 비교정 리드와 교정 리드가 실제 심전도 검사에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직교 심전도 리드의 축은 수평(X), 정면(G) 및 시상(Z)의 세 가지 상호 수직 평면을 향합니다.

직교 양극성 교정되지 않은 리드 X는 두 개의 전극으로 구성됩니다. 양극(왼쪽부터)은 위치 V 6에 배치됩니다. 음수 (오른쪽에서) - 위치 V 6R. 리드 Z는 위치 V 2의 양극(왼쪽)과 위치 V 8R의 음극(오른쪽)으로 기록됩니다.

납 V는 양극(왼쪽 손)을 검돌기 부위에 적용하고 음극(오른쪽 손)을 흉골 오른쪽의 두 번째 늑간 공간에 배치할 때 기록됩니다. 마지막으로, 리드 R 0이 주어진 리드에 접근합니다. 이것은 V 7 위치에 양극(왼쪽부터)을 적용했을 때 기록됩니다. 음수(오른쪽에서) - 위치 V1.

리드는 I 접점의 리드 스위치 위치에 등록됩니다.

대략적으로 리드 X는 리드 I, avL V 5-6에 해당하며 좌심실의 전측 스테이크를 반영합니다. 리드 V는 리드 III 및 avF에 해당하며 후벽을 반사합니다. 리드 Z는 리드 V2에 해당하며 심실중격을 반영합니다. 리드 Ro는 리드 V 6-7에 해당하며 좌심실의 후측벽을 반영합니다.

대형 초점 심장마비심근은 위치에 관계없이 좌심실의 직교 리드가 항상 적절한 그래픽으로 반응하는 반면, 소초점 심근 병변, 특히 좌심실 기저 부분의 경우 이러한 리드의 변화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경우 Slapak-Portilla 리드와 더 높은 늑간 공간의 흉부 리드가 사용됩니다.

교정된 직교 리드는 심장 쌍극자의 이심률과 가변성을 고려한 엄격한 물리적 원리를 기반으로 하므로 다음 사항에 민감하지 않습니다. 개인의 특성가슴과 심장의 해부학적 위치.

수정된 직교 리드를 등록하기 위해 특정 저항을 통해 서로 연결된 전극의 다양한 조합이 제안되었습니다.

Frank에 따르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교정 직교 리드를 사용하면 전극은 다음과 같이 배치됩니다. 전극 E - 흉골의 네 번째와 다섯 번째 늑간 사이 수준, 전극 M - 뒤쪽 전극 E 수준, 전극 A - 전극 E, 전극 C 수준의 왼쪽 겨드랑이 중앙선을 따라 - 전극 A와 E 사이에 45° 각도로, 즉 전극 A와 E, 전극 F의 지점을 연결하는 선의 중앙 - 전극 전극 E 수준의 오른쪽 액와선, 전극 H - 목 뒤쪽, 전극 F - 왼쪽 다리. 접지된 전극은 오른쪽 다리에 배치됩니다. 따라서 Frank 시스템에 따르면 전극 E, M, A, C, I는 다섯 번째 갈비뼈가 흉골에 부착되는 수준에서 신체 주위에 배치됩니다.

실제 의학에서는 교정 리드를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다른 추가 리드는 문헌에 나와 있습니다. Pescodor에 따른 ZR; Gurevich와 Krynsky에 따르면 Dm, Am, Im, CKR, CKL, CKF; MCL 및 MCL 6 바이 메리어트. 그러나 위에 나열된 것보다 큰 이점이 없으며 실제 의학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현재 비침습적 방법을 사용하여 국소 심근 손상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는 질병의 즉각적이고 장기적인 예후와 심근 영역 제한을 목표로 하는 치료 방법의 효과를 평가하는 데 중요합니다. 허혈성 손상. 이를 위해 심전도가 기록됩니다. 이 경우 다른 수의 사전 리드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됩니다. 가장 널리 퍼진 시스템은 2번째부터 6번째 늑간까지의 5개의 수평 열과 7개의 수직 열(오른쪽 및 왼쪽 흉골 흉골 선을 따라, 왼쪽 흉골 흉골 선과 왼쪽 쇄골 중앙 선 사이의 거리 중간)이 있는 35개의 리드 시스템입니다. 왼쪽 쇄골 중앙, 전방, 중간 및 후방 겨드랑이 선). ECG 기록은 Wilson에 따라 흉부 전극을 사용하여 수행됩니다. P. R. Magoko 등(1971)은 심근의 허혈성 손상 구역의 크기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S-T 분절의 상승이 기록되는 리드가 경색 주변 구역에 해당한다는 생각을 바탕으로 NST를 제안했습니다. 손상 심각도를 나타내는 지표(S-T 세그먼트 높이가 1.5mm 이상인 리드 수) - S-T의 합을 mm 단위로 NST(ST = ΣST/NST)로 나누는 몫이 증가합니다. S-T 세그먼트의 높이와 QS 유형의 심실 복합체의 변화가 결정된 ECG 리드의 수는 지도표를 사용하여 표시되며, 여기서 35개의 리드 각각은 일반적으로 면적이 1cm2인 정사각형으로 표시됩니다. (G. V. Ryabinina, 3. 3. Dorofeeva, 1977) . 물론 이렇게 표현되는 경벽주위부와 경벽심근손상의 정도는 흉부의 두께와 형태, 위치의 차이로 인해 나타난다. 마음해당 심근 손상 구역의 실제 크기로는 완전히 식별할 수 없습니다.

심전도법의 단점은 위치 파악에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심장마비심실 내 전도 (다발 분지 차단) 및 심낭염의 심각한 장애가없는 경우 전벽 및 측벽 영역의 심근.

따라서 현재 심근의 초점 변화의 성격과 위치를 결정하는 데 큰 진단 가치가 있는 다양한 리드 시스템과 개별 ECG 리드가 있습니다. 이러한 병변이 의심되는 경우 표준 리드 3개, Holberger에 따른 사지 강화 리드 3개, Wilson에 따른 흉부 리드 6개, Neb에 따른 리드 3개, 교정되지 않은 직각 리드 3개를 등록해야 합니다.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는 영향을 받은 부위의 위치에 따라 리드 V 7-9가 추가로 기록됩니다. V E . R o. 때로는 Slapak-Portilla에 따르면 S 1 -4, V 3R -6 R 및 V 1-7이 5번째 위 및 아래의 늑간 공간에 있습니다.

Hfpkbxyst jtdtltybz 'RU d tjgbxtcrjq lbfuyjctbrt jxfujds[ bpvtytybq vbjrfhlf. Yf dct[ 'tfgf[ hfpdbtbz 'RU, yfxbyfz c ghbvtytybz D. 'qytujdtyjv (1903) tht[ rkfccbxtcrb[ (ctfylfhtys[) jtdtltybq, bccktljdfttkb cthtvbkbcm lftm ghfrtbxtcrbv dhfx fv jctjq, tjxysq b yfb,jktt byajhvftbdysq vttjl htubcthfwbb ,bjgjttywbfkjd cthltxyjq vsiws . Gjctjzyysq gjbcr yjds[ jgtbvfkmys[ vttjlbr htubcthfwbb 'ktrthjrfhlbjuhfvvs ghbdtk r pyfxbttkmyjve edtkbxtyb. jtdtltybq, xbckj rjtjhs[ ghjljk;ftt djphfctftm. D jcyjde htubcthfwbb ctfylfhtys[ jtdtltybq 'RU gjkj;ty thteujkmybr 'qytujdtyf, euks rjtjhjuj j,hfpe.t thb rjytxyjctb: ghfdfz b ktdfz 허브 b ktdfz yjuf. Rf;lfz ctjhjyf thteujkmybrf j,hfpett jcm jtdtltybz. Gthdjt jtdtltybt (I) ajhvbhettcz pf cxtt hfpyjctb gjttywbfkjd vt;le 'ktrthjlfvb, yfkj;tyysvb yf ghfde. b ktde. 허브, dtjhjt (II) - vt;le 'ktrthjlfvb ghfdjq 허브 b ktdjq yjub, thttmt (III) - vt;le 'ktrthjlfvb ktdjq 허브 b ktdjq yjub. Ghb gjvjob ctfylfhtys[ jtdtltybq vj;yj dszdkztm jxfujdst bpvtytybz rfr d gthtlytq(I jtdtltybt), tfr b d pflytq cttyrt(III jtdtltybt

심근경색의 국소화 결정. ECG에 따른 심근경색의 지형도

설명을 시작하기 전에 경색의 다양한 ECG 변형. 해부학적 위치의 차이에 따라 결정되는 경우, 영향을 받은 부위 및 관상동맥 순환과 관련하여 이 장의 시작 부분에서 간략하게 언급한 내용을 상기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그림은 보여줍니다 다양한 QRS 루프 다이어그램~에 다양한 현지화바르셀로나 대학교 심장클리닉에서 사용하는 분류에 따른 심장마비. 심전도, 혈관 조영술 및 병리학 연구에 따르면 ECG는 특히 고립된 경색에서 경색 위치를 예측하는 데 상대적으로 구체적이지만(즉, 특정 리드의 Q파는 병리학적 소견과 상당히 잘 연관되어 있음), 그 민감도는 매우 낮습니다(ECG에서 비정상적인 Q 치아가 없을 때 병리학적 경색이 종종 관찰됩니다).

일반적으로 감도 12 리드 ECG이전 심장마비 진단에 있어서의 확률은 약 65%이고 특이도는 80~95%로 다양합니다. 민감도는 낮지만(20% 미만) 특이도가 높은 특정 기준이 있습니다. 더욱이 심장마비 진단에 있어서 ECG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심전도는 그 정도를 정확하게 판단하지 못합니다. 개별 기준의 민감도는 매우 낮지만 여러 다른 기술과 결합하면 증가합니다. 다음 발표에서 알 수 있듯이 다양한 방식심장 마비, VKG는 때때로 더 민감한 기준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전벽에서 외측 또는 하벽으로의 경색 전이는 종종 눈에 띄지 않게 됩니다. VKG는 예를 들어 의심스러운 Q파를 사용하여 진단 기능을 확장하고 여러 괴사 영역의 존재를 밝힐 수 있습니다.

의사 ~ 해야 하다 ECG와 병리학적 변화 사이에 항상 관계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ECG를 사용하여 경색의 국소화를 평가하려고 합니다. 그는 또한 의무가 있습니다. 바닥 벽은 본질적으로 상단뒷벽. 경색은 벽 침범 깊이에 따라 경벽성 또는 비경벽성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높거나 낮은 위치에 따라 정점 또는 기저부; 영향을 받는 벽의 영역에 따라 후방, 전방, 중격 또는 측면.

심장마비항상 중격벽, 전방벽, 후방벽, 하부벽 또는 측벽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닙니다. 훨씬 더 일반적인 것은 다양합니다. 복합 병변, 일반적으로 심근 손상 부위에 따라 달라지며 이는 결국 관상 동맥 폐색과 관련됩니다.

심장마비일반적으로 좌심실의 전격막(보통 전하행 관상동맥의 폐색으로 인해) 또는 하후후부(회선 및/또는 우관상동맥의 폐색으로 인해)에 발생합니다. 측벽심장은 어느 부위에서나 손상될 수 있습니다. 심장마비는 한 부위 또는 다른 부위에서 더 두드러질 수 있습니다. 어떤 경우든 다음 일반화를 염두에 두십시오.

a) 경색은 일반적으로 전외측 중격 부위의 기저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b) 가장 높은 부분과 후외측, 기저벽 및/또는 심실간 중격의 경색은 병변을 나타내는 Q파를 동반하지 않지만 루프의 말단 부분의 구성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c) 25%의 경우, 좌심실 후벽의 경색이 우심실로 전달됩니다.

G) 하단 부분후벽의 기저 절반은 전형적인 후벽 경색(V1, V2 리드의 높은 R)에 해당하는 영역으로, 등쪽 리드의 거울상 형태로 후벽 경색은 일반적으로 격리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후벽의 정점 부분(하부 또는 횡경막)에는 영향을 미칩니다.